Skip to main content

One post tagged with "structs"

View All Tags

Chap.5 Structs

· 35 min read
brown
FE developer
  • 구조체(struct)는 여러 값을 묶어서 어떤 의미를 갖는 데이터 단위를 정의하는 데에 사용합니다.
  • 객체지향 언어에 익숙하신 분들은 구조체를 "객체가 갖는 데이터 속성"과 같은 개념으로 이해하셔도 좋습니다.
  • 이번 장에선 앞서 배운 튜플과 구조체 간 비교, 구조체 사용법, 구조체의 데이터와 연관된 동작을 표현하는 메소드, 연관함수(associated functions) 정의 방법을 다룹니다.
  • 필요한 데이터 형식을 작성할 때 구조체나 열거형(6장에서 배울 예정입니다)을 이용하면, 여러분이 직접 만든 타입에도 러스트의 컴파일 시점 타입 검사 기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습니다.

5.1 구조체 정의 및 인스턴트화


  • 구조체는 3장에서 배운 튜플과 비슷합니다.
  • 튜플처럼 구조체의 구성 요소들은 각각 다른 타입이 될 수 있습니다.
  • 그리고 여기에 더해서, 구조체는 각각의 구성 요소에 이름을 붙일 수 있습니다.
  • 따라서 각 요소가 더 명확한 의미를 갖게 되고, 특정 요소에 접근할 때 순서에 의존할 필요도 사라집니다.
  • 결론적으로, 튜플보다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조체를 정의할 땐 struct 키워드와 해당 구조체에 지어줄 이름을 입력하면 됩니다. 이때 구조체 이름은 함께 묶을 데이터의 의미에 맞도록 지어주세요. 이후 중괄호 안에서는 필드(field)라 하는 각 구성 요소의 이름 및 타입을 정의합니다.

struct User {
username: String,
email: String,
sign_in_count: u64,
active: bool,
}
  • 정의한 구조체를 사용하려면 해당 구조체 내 각 필드의 값을 정해 인스턴스(instance)를 생성해야 합니다.
  • 구조체 정의는 대충 해당 구조체에 무엇이 들어갈지를 정해둔 양식이며, 인스턴스는 거기에 실제 값을 넣은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시로 확인해 보죠
struct User {
username: String,
email: String,
sign_in_count: u64,
active: bool,
}

fn main() {
let user1 = User {
email: String::from("someone@example.com"),
username: String::from("someusername123"),
active: true,
sign_in_count: 1,
};
}
user1.email = String::from("anotheremail@example.com");
fn build_user(email: String, username: String) -> User {
User {
email: email,
username: username,
active: true,
sign_in_count: 1,
}
}
  • 구조체 내 특정 값은 점(.) 표기법으로 얻어올 수 있습니다.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를 얻어야 한다치면 user1.email 처럼 사용할 수 있죠.
  • 변경 가능한 인스턴스라면, 같은 방식으로 특정 필드의 값을 변경할 수도 있습니다.
  • 가변성은 해당 인스턴스 전체가 지니게 됩니다.(일부 필드만 변경 가능하도록 만들 수는 없음)
  • 구조체도 다른 표현식과 마찬가지로 함수 마지막 표현식에서 암묵적으로 새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반환할 수 있습니다.

변수명과 필드명이 같을 때 간단하게 필드 초기화하기

변수명과 구조체 필드명이 같을 땐, 필드 초기화 축약법(field init shorthand)을 사용해서 더 적은 타이핑으로 같은 기능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fn build_user(email: String, username: String) -> User {
User {
email,
username,
active: true,
sign_in_count: 1,
}
}

기존 인스턴스를 이용해 새 인스턴스를 만들 때 구조체 갱신법 사용하기

기존에 있던 인스턴스에서 대부분의 값을 유지한 채로 몇몇 값만 바꿔 새로운 인스턴스를 생성하게 되는 경우가 간혹 있습니다. 그럴 때 유용한 게 바로 구조체 갱신법(struct update syntax)입니다.

struct User {
username: String,
email: String,
sign_in_count: u64,
active: bool,
}
fn main() {
let user1 = User {
email: String::from("someone@example.com"),
username: String::from("someusername123"),
active: true,
sign_in_count: 1,
};
// 구조체 갱신법 X
let user2 = User {
email: String::from("another@example.com"),
username: String::from("anotherusername567"),
active: user1.active,
sign_in_count: user1.sign_in_count,
};
// 구조체 갱신법 O
let user2 = User {
email: String::from("another@example.com"),
username: String::from("anotherusername567"),
..user1
};
}

필드명이 없는, 타입 구분용 튜플 구조체

  • 구조체를 사용해 튜플과 유사한 형태의 튜플 구조체(tuple structs)를 정의할 수도 있습니다.
  • 튜플 구조체는 필드의 이름을 붙이지 않고 필드 타입 만을 정의하며, 구조체 명으로 의미를 갖는 구조체입니다.
  • 이는 튜플 전체에 이름을 지어주거나 특정 튜플을 다른 튜플과 구분 짓고 싶은데, 그렇다고 각 필드명을 일일이 정해 일반적인 구조체를 만드는 것은 배보다 배꼽이 더 큰 격이 될 수 있을 때 유용합니다.

튜플 구조체의 정의는 일반적인 구조체처럼 struct 키워드와 구조체 명으로 시작되나, 그 뒤에는 타입들로 이루어진 튜플이 따라옵니다.

fn main() {
struct Color(i32, i32, i32);
struct Point(i32, i32, i32);

let black = Color(0, 0, 0);
let origin = Point(0, 0, 0);
}
  • blackorigin 이 서로 다른 튜플 구조체의 인스턴스이므로, 타입이 서로 달라진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구조체 내 필드 구성이 같더라도 각각의 구조체는 별도의 타입이기 때문이죠.
  • 즉, Color 타입과 Point 타입은 둘 다 i32 값 3 개로 이루어진 타입이지만, Color 타입을 매개변수로 받는 함수에 Point 타입을 인자로 넘겨주는 건 불가능합니다.

필드가 없는 유사 유닛 구조체

  • 필드가 아예 없는 구조체를 정의할 수도 있습니다.
  • 유닛 타입인 () 과 비슷하게 동작하므로 유사 유닛 구조체(unit-like structs) 라 지칭
  • 어떤 타입을 내부 데이터 저장 없이 10장에서 배울 트레잇을 구현하기만 하는 용도로 사용할 때 주로 활용됩니다.

구조체 데이터의 소유권

  • User 구조체 정의에서는 의도적으로 &str 문자열 슬라이스 대신 구조체가 소유권을 갖는 String 타입을 사용했습니다.  - 구조체 인스턴스가 유효한 동안 인스턴스 내의 모든 데이터가 유효하도록 만들기 위해서죠.  - 참조자를 이용해 구조체가 소유권을 갖지 않는 데이터도 저장할 수는 있지만,  - 이는 10장에서 배울 라이프타임(lifetime)을 활용해야 합니다.  - 라이프타임을 사용하면 구조체가 존재하는 동안에 구조체 내 참조자가 가리키는 데이터의 유효함을 보장받을 수 있기 때문이죠.

  • 만약 라이프타임을 명시하지 않고 참조자를 저장하고자 하면 다음처럼 문제가 발생합니다.

  • 위 에러를 해결하여 구조체에 참조자를 저장하는 방법은 10장에서 알아볼 겁니다.

  • 지금 당장은 &str 대신 String 을 사용함으로써 넘어가도록 하죠.


5.2 구조체를 사용한 예제 프로그램


어떨 때 구조체를 사용하면 좋을지를, 사각형 넓이를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면서 익혀보도록 합시다.

아래 예제는 함수와 rect의 연관성 X

fn main() {
let width1 = 30;
let height1 = 50;
println!(
"The area of the rectangle is {} square pixels.",
area(width1, height1)
);
}
fn area(width: u32, height: u32) -> u32 {
width * height
}

튜플로 리팩토링하기

튜플을 사용함으로써 더 짜임새 있는 코드가 됐고, 인자도 단 하나만 넘기면 된다는 점에선 프로그램이 발전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각 요소가 이름을 갖지 않는 튜플의 특성 때문에 값을 인덱스로 접근해야 해서 계산식이 난잡해졌네요.

fn main() {
let rect1 = (30, 50);
println!(
"The area of the rectangle is {} square pixels.",
area(rect1)
);
}
fn area(dimensions: (u32, u32)) -> u32 {
dimensions.0 * dimensions.1
}

구조체로 리팩토링하여 코드에 더 많은 의미를 담기

구조체는 데이터에 이름표를 붙여서 의미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struct Rectangle {
width: u32,
height: u32,
}
fn main() {
let rect1 = Rectangle {
width: 30,
height: 50,
};
println!(
"The area of the rectangle is {} square pixels.",
area(&rect1)
);
}
fn area(rectangle: &Rectangle) -> u32 {
rectangle.width * rectangle.height
}
  • area 함수의 매개변수는 이제 rectangle 하나뿐입니다.
  • 단, 구조체의 소유권을 가져와 버리면 main 함수에서 area 함수 호출 이후에 rect1 을 더 사용할 수 없으므로rectangle 매개변수의 타입을 불변 참조자 타입으로 정하여 소유권을 빌려오기만 하도록 만들었습니다.
  • 불변 참조자 타입이니 함수 시그니처와 호출시에 & 를 작성합니다.
  • area 함수는 Rectangle 인스턴스의 widthheight 필드에 접근하여 area, 즉 넓이를 계산합니다.
  • 이제 함수 시그니처만 봐도 의미를 정확히 알 수 있네요. widthheight 가 서로 연관된 값이라는 것도 알 수 있고,
  • 0 이나 1 대신 필드명을 사용해 더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트레잇 derive 로 유용한 기능 추가하기

  • println! 매크로에는 여러 출력 형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그리고 기본 형식인 {} 로 지정할 땐 Display 라는, 최종 사용자를 위한 출력 형식을 사용하죠.

  • 여태 사용했던 기본 타입들은 Display 가 기본적으로 구현돼있었습니다. 1 같은 기본 타입들을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는 형식은 딱 한 가지뿐이니까요.

  • 하지만 구조체라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중간중간 쉼표를 사용해야 할 수도 있고, 중괄호도 출력해야 할 수도 있고, 필드 일부를 생략해야 할 수도 있는 등 여러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 러스트는 이런 애매한 상황에 우리가 원하는 걸 임의로 예상해서 제공하려 들지 않기 때문에, 구조체에는 Display 구현체가 기본 제공되지 않습니다.

  • 따라서 println! 에서 처리할 수 없죠.

  • println! 매크로 호출을 println!("rect1 is {:?}", rect1); 으로 바꿔봅시다.

  • {} 내에 :? 를 추가하는 건 println! 에 Debug 라는 출력 형식을 사용하고 싶다고 전달하는 것과 같습니다.

  • 이 Debug 라는 트레잇은 최종 사용자가 아닌, 개발자에게 유용한 방식으로 출력하는, 즉 디버깅할 때 값을 볼 수 있게 해주는 트레잇입니다.

  • 러스트는 디버깅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습니다.

  • 하지만 우리가 만든 구조체에 해당 기능을 적용하려면 명시적인 동의가 필요하므로, 구조체 정의 바로 이전에 #[derive(Debug)] 어노테이션을 작성해주어야 합니다.

    • Annotation은 프로그램 내에서 주석과 유사하게, 프로그래밍 언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프로그램/프로그래머에게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 컴파일러가 특정 오류를 억제하도록 지시하는 것과 같이 프로그램 코드의 일부가 아닌 프로그램에 관한 데이터를 제공, 코드에 정보를 추가하는 정형화된 방법.
#[derive(Debug)]
struct Rectangle {
width: u32,
height: u32,
}
fn main() {
let rect1 = Rectangle {
width: 30,
height: 50,
};
println!("rect1 is {:?}", rect1);
}
  • 가장 예쁜 출력 형태라 할 수는 없지만, 인스턴스 내 모든 필드 값을 보여주므로 디버깅하는 동안에는 확실히 유용할 겁니다.
  • 필드가 더 많은 구조체라면 이보다 더 읽기 편한 형태가 필요할 텐데요.
  • 그럴 땐 println! 문자열 내에 {:?} 대신 {:#?} 를 사용하면 됩니다.

러스트에선 이처럼 derive 어노테이션으로 우리가 만든 타입에 유용한 동작을 추가할 수 있는 트레잇을 여럿 제공합니다. 이들 목록 및 각각의 동작은 부록 C에서 확인할 수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또한, 여러분만의 트레잇을 직접 만들고, 이런 트레잇들의 동작을 원하는 대로 커스터마이징 해서 구현하는 방법은 10장에서 배울 예정입니다.

본론으로 돌아옵시다. 우리가 만든 area 함수는 사각형의 면적만을 계산하며, Rectangle 구조체를 제외한 다른 타입으로는 작동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아예 Rectangle 구조체와 더 밀접하게 만드는 편이 낫지 않을까요? 다음에는 area 함수를 Rectangle 타입 내에 메소드(method) 형태로 정의하여 코드를 리팩토링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5.3 메소드 문법


  • 메소드(method) 는 함수와 유사합니다.
  • fn 키워드와 함수명으로 선언하고, 매개변수와 반환 값을 가지며, 다른 어딘가로부터 호출될 때 실행됩니다.
  • 하지만 메소드는 함수와 달리 구조체 문맥상에 정의되고(열거형이나 트레잇 객체 안에 정의되기도 하며, 이는 각각 6장, 17장에서 알아보겠습니다), 첫 번째 매개변수가 항상 self 라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 self 매개변수는 메소드가 호출된 구조체 인스턴스를 나타냅니다.

메소드 정의

기존의 Rectangle 매개변수를 갖던 area 함수를 Rectangle 구조체에 정의된 area 메소드로 바꿔봅시다.

#[derive(Debug)]
struct Rectangle {
width: u32,
height: u32,
}
impl Rectangle {
fn area(&self) -> u32 {
self.width * self.height
}
}
fn main() {
let rect1 = Rectangle {
width: 30,
height: 50,
};
println!(
"The area of the rectangle is {} square pixels.",
rect1.area()
);
}
  1. Rectangle 내에 함수를 정의하기 위해서
  2. impl (구현: implementation) 블록을 만들고
  3. area 함수를 옮겨온 후,
  4. 기존에 있던 첫 번째 매개변수를 (이 경우엔 유일한 매개변수네요) 함수 시그니처 및 본문 내에서 찾아 self 로 변경했습니다.
  5. 그리고 main 함수 내에선 rect1 을 인수로 넘겨 area 함수를 호출하는 대신, 메소드 문법(method syntax) 을 사용해 Rectangle 인스턴스의 area 메소드를 호출했습니다.
  6. 메소드 문법은 차례대로 인스턴스, 점, 메소드명, 괄호 및 인수로 구성됩니다.
  • area 시그니처부터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기존의 rectangle: &Rectangle 이 &self 로 바뀌었네요.

  • Rectangle 을 명시하지 않아도 되는 이유는, 메소드가 impl Rectangle 내에 있다는 점을 이용해 러스트가 self 의 타입을 알아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 또한 self 앞에 기존 &Rectangle 처럼 & 가 붙은 점을 주목해주세요.

  • 메소드는 지금처럼 self 를 변경 불가능하게 빌릴 수도 있고, 다른 매개변수처럼 변경 가능하도록 빌릴 수도 있고, 아예 소유권을 가져올 수도 있습니다.

  • &self 를 사용해 변경 불가능하게 빌려온 이유는 기존에 &Rectangle 을 사용했던 이유와 같습니다.

  • 우리가 원하는 건 소유권을 가져오는 것도, 데이터를 작성하는 것도 아닌, 데이터를 읽는 것뿐이니까요.

  • 만약 메소드에서 호출된 인스턴스를 변경해야 한다면? &mut self 를 사용하면 됩니다.

  • self 로만 작성하여 인스턴스의 소유권을 가져오도록 만드는 일은 거의 없습니다.

    • 그나마 self 를 다른 무언가로 변형시키고, 그 이후에는 원본 인스턴스 사용을 막고자 할 때나 종종 볼 수 있죠.

함수 대신 메소드를 이용했을 때의 주요 이점은 메소드 시그니처 내에서 self 의 타입을 반복해서 입력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뿐만이 아닙니다.

코드를 더 조직적으로 만들 수 있죠. 우리가 라이브러리를 제공하게 된다고 가정해봅시다. 향후 우리가 제공한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사람들이 Rectangle 에 관련된 코드를 라이브러리 곳곳에서 찾아내야 하는 것과, impl 블록 내에 모두 모아둔 것 중에 어떤 것이 나을까요? 답은 명확합니다.

-> 연산자는 없나요?

C 나 C++ 언어에서는 메소드 호출에 두 종류의 연산자가 쓰입니다. 어떤 객체의 메소드를 직접 호출할 땐 . 를 사용하고, 어떤 객체의 포인터를 이용해 메소드를 호출하는 중이라서 역참조가 필요할 땐 -> 를 사용하죠. 예를 들어서 object 라는 포인터가 있다면, object->something() 는 (*object).something() 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 -> 연산자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연산자는 러스트에 없습니다. 러스트에는 자동 참조 및 역참조(automatic referencing and dereferencing) 라는 기능이 있고, 메소드 호출에 이 기능이 포함돼있기 때문입니다.

여러분이 object.something() 코드로 메소드를 호출하면, 러스트에서 자동으로 해당 메소드의 시그니처에 맞도록 &&mut* 를 추가합니다. 즉, 다음 두 표현은 서로 같은 표현입니다: p1.distance(&p2); (&p1).distance(&p2);

첫 번째 표현이 더 깔끔하죠? 이런 자동 참조 동작은 메소드의 수신자(self 의 타입을 말합니다)가 명확하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수신자와 메소드명을 알면 해당 메소드가 인스턴스를 읽기만 하는지(&self), 변경하는지(&mut self), 소비하는지(self) 러스트가 알아낼 수 있거든요. 또한 메소드의 수신자를 러스트에서 암묵적으로 빌린다는 점은, 실사용 환경에서 소유권을 인간공학적으로 만드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더 많은 파라미터를 가진 메소드

Rectangle 구조체의 두 번째 메소드를 구현하여 메소드 사용법을 연습해 봅시다.

  • 새로 만들 메소드는 다른 Rectangle 인스턴스를 받아서,
  • self 사각형 면적 내에 두 번째 사각형 Rectangle 인스턴스가 들어갈 수 있다면 true 를 반환하고,
  • 못 들어가면 false 를 반환할 겁니다.
  • 즉, can_hold 메소드를 정의하여 프로그램이 작동하도록 만들겠습니다:
    • 메소드의 정의는 impl Rectangle 블록 내에 위치할 것이고,
    • 메소드명은 can_hold, 매개변수는 Rectangle 을 불변 참조자로 받겠죠.
    • 이때 매개변수 타입은 메소드를 호출하는 코드를 보면 알아낼 수 있습니다.
    • rect1.can_hold(&rect2) 에서 Rectangle 인스턴스 rect2 의 불변 참조자인 &rect2 를 전달했으니까요.
    • rect2 를 읽을 수만 있으면 되기 때문에 변경 가능하게 빌려올 필요도 없으며, rect2 의 소유권을 main 에 남겨두지 않을 이유도 없으니, 논리적으로도 불변 참조자가 가장 적합합니다.
    • 반환값은 Boolean 타입이 될 거고, self 의 너비, 높이가 다른 Rectangle 의 너비, 높이보다 큰지 검사하는 식으로 구현될 겁니다.
#[derive(Debug)]
struct Rectangle {
width: u32,
height: u32,
}
impl Rectangle {
fn area(&self) -> u32 {
self.width * self.height
}
fn can_hold(&self, other: &Rectangle) -> bool {
self.width > other.width && self.height > other.height
}
}
fn main() {
let rect1 = Rectangle {
width: 30,
height: 50,
};
let rect2 = Rectangle {
width: 10,
height: 40,
};
let rect3 = Rectangle {
width: 60,
height: 45,
};
println!("Can rect1 hold rect2? {}", rect1.can_hold(&rect2));
println!("Can rect1 hold rect3? {}", rect1.can_hold(&rect3));
}

연관 함수

  • impl 블록에는 self 매개변수를 갖지 않는 함수도 정의할 수 있습니다.
  • 이러한 함수는 구조체의 인스턴스로 동작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메소드는 아니지만,
  • 구조체와 연관돼있기에 연관 함수(associated functions) 라고 부릅니다.
  • 여러분이 이미 사용해본 연관 함수로는 String::from 이 대표적이군요.

연관 함수는 주로 새로운 구조체 인스턴스를 반환해주는 생성자로 활용됩니다. 예시를 들어보죠.

  • Rectangle 로 정사각형을 만들 때 너비, 높이에 같은 값을 두 번 명시하는 대신,
  • 치수 하나를 매개변수로 받고 해당 치수로 너비 높이를 설정하는 연관함수를 만들어,
  • 더 간단하게 정사각형을 만드는 방법을 제공해보겠습니다:
#[derive(Debug)]
struct Rectangle {
width: u32,
height: u32,
}
impl Rectangle {
fn square(size: u32) -> Rectangle {
Rectangle {
width: size,
height: size,
}
}
}
fn main() {
let sq = Rectangle::square(3);
}

연관 함수를 호출할 땐 let sq=Rectangle::square(3); 처럼 구조체 명에 :: 구문을 붙여서 호출합니다.

연관 함수는 구조체의 네임스페이스 내에 위치하기 때문이죠. :: 구문은 7장에서 알아볼 모듈에 의해 생성되는 네임스페이스에도 사용됩니다.

impl 블록은 여러 개일 수 있습니다

각 구조체는 여러 개의 impl 블록을 가질 수 있습니다. 다음 Listing 5-16은 Listing 5-15에 나온 코드를 변경해 impl 블록을 여러 개로 만든 모습입니다:

...
impl Rectangle {
fn area(&self) -> u32 {
self.width * self.height
}
}
impl Rectangle {
fn can_hold(&self, other: &Rectangle) -> bool {
self.width > other.width && self.height > other.height
}
}
...

위 코드에서는 impl 블록을 여러 개로 나눠야 할 이유가 전혀 없지만, impl 블록을 반드시 하나만 작성해야 할 필요는 없음을 보여드리기 위해 예시로 작성했습니다. 여러 impl 블록을 유용하게 사용하는 모습은 제네릭 타입 및 트레잇 내용을 다루는 10장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요약

  • 구조체를 사용하면 우리에게 필요한 의미를 갖는 타입을 직접 만들 수 있습니다.
  • 또한, 구조체를 사용함으로써 서로 관련 있는 데이터들을 하나로 묶어 관리할 수 있으며,
  • 각 데이터 조각에 이름을 붙여 코드를 더 명확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 메소드를 이용하면 여러분이 만든 구조체의 인스턴스에 특정한 동작을 지정해 줄 수도 있고,
  • 연관 함수로 인스턴스가 아닌 구조체 네임스페이스를 대상으로 기능을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구조체로만 커스텀 타입을 만들 수 있는 건 아닙니다. 다음엔 열거형을 배워서 여러분이 쓸 수 있는 도구를 하나 더 늘려보도록 합시다.


codewars

0907

Number of People in the Bus

fn number(bus_stops: &[(i32, i32)]) -> i32 {
let mut come = 0;
let mut out = 0;
for peoples in bus_stops {
let (push, pop) = peoples;
come += push;
out += pop;
}
come - out
}
//
fn number(bus_stops:&[(i32,i32)]) -> i32 {
bus_stops.iter().fold(0,|acc,x| acc + x.0 - x.1)
}
fn number(bus_stops:&[(i32,i32)]) -> i32 {
bus_stops
.into_iter()
.map(|n| n.0 - n.1)
.sum()
}

0910

Testing 1-2-3

fn number(lines: &[&str]) -> Vec<String> {
lines
.iter()
.enumerate()
.map(|(i, &item)| {
let mut str = String::from("");
let idx = i + 1;
let s = format!("{}: {}", idx, item);
str.push_str(&s);
str
})
.collect::<Vec<String>>()
}
//
fn number(lines: &[&str]) -> Vec<String> {
lines.iter().enumerate().map(|x| format!("{}: {}", x.0 + 1, x.1)).collect()
}
fn number(lines: &[&str]) -> Vec<String> {
lines.iter().zip(1..).map(|(x, i)| format!("{i}: {x}")).collect()
}
fn number(lines: &[&str]) -> Vec<String> {
lines.iter().enumerate().map(|(n, line)| format!("{}: {line}", n + 1)).collect()
}

Complementary DNA

fn dna_strand(dna: &str) -> String {
let mut ans = String::from("");
dna.chars().for_each(|c| match c {
'A' => ans.push_str("T"),
'T' => ans.push_str("A"),
'G' => ans.push_str("C"),
_ => ans.push_str("G"),
});
ans
}
//
fn dna_strand(dna: &str) -> String {
dna.chars().map(|c|
match c {
'A' => 'T',
'T' => 'A',
'G' => 'C',
'C' => 'G',
_ => c,
})
.collect()
}
use std::collections::HashMap;

fn dna_strand(dna: &str) -> String {
let complements: HashMap<char, char> = [('A', 'T'), ('T', 'A'), ('C', 'G'), ('G', 'C')].iter().cloned().collect();
dna.chars().map(|c| complements.get(&c).unwrap()).collect()
}

Maximum Length Difference

into_iter, iter의 차이 https://sftblw.tistory.com/91

fn mx_dif_lg(a1: Vec<&str>, a2: Vec<&str>) -> i32 {
if a1.len() == 0 || a2.len() == 0 {
-1
} else {
let a_map1 = a1.into_iter().map(|x| x.len() as i32);
let a_map2 = a_map1.clone();
let b_map1 = a2.into_iter().map(|x| x.len() as i32);
let b_map2 = b_map1.clone();
//
let x_max = a_map1.max().unwrap();
let x_min = a_map2.min().unwrap();
let y_max = b_map1.max().unwrap();
let y_min = b_map2.min().unwrap();

let a = (x_max - y_min).abs();
let b = (y_max - x_min).abs();
if a > b {
a
} else {
b
}
}
}
//
use std::cmp::{max, min};
use std::usize::MAX;

pub fn mx_dif_lg(a1: Vec<&str>, a2: Vec<&str>) -> i32 {
if a1.is_empty() || a2.is_empty() {
return -1;
}
let (max1, min1) = a1
.iter()
.map(|&x| x.len())
.fold((0, MAX), |ac, x| (max(ac.0, x), min(ac.1, x)));
let (max2, min2) = a2
.iter()
.map(|&x| x.len())
.fold((0, MAX), |ac, x| (max(ac.0, x), min(ac.1, x)));

max(((max1 - min2) as i32).abs(), ((max2 - min1) as i32).abs())
}
fn mx_dif_lg(a1: Vec<&str>, a2: Vec<&str>) -> i32 {
if a1.len() == 0 || a2.len() == 0 { return -1 }
let a1_min = a1.iter().map(|s| s.len()).min().unwrap() as i32;
let a1_max = a1.iter().map(|s| s.len()).max().unwrap() as i32;
let a2_min = a2.iter().map(|s| s.len()).min().unwrap() as i32;
let a2_max = a2.iter().map(|s| s.len()).max().unwrap() as i32;
(a1_max - a2_min).max(a2_max - a1_min)
}
fn mx_dif_lg(a1: Vec<&str>, a2: Vec<&str>) -> i32 {
// your code
a1.iter().flat_map(|s1| a2.iter().map(|s2| (s1.len() as i32 - s2.len() as i32).abs()).collect::<Vec<_>>() ).max().unwrap_or(-1)
}

Odd or Even?

fn odd_or_even(numbers: Vec<i32>) -> String {
let sum: i32 = numbers.iter().sum();
if sum % 2 == 0 {
"even".to_string()
} else {
"odd".to_string()
}
}
//
fn odd_or_even(numbers: Vec<i32>) -> String {
match numbers.iter().sum::<i32>() % 2 == 0 {
true => "even".to_string(),
false => "odd".to_string()
}
}
fn odd_or_even(numbers: Vec<i32>) -> String {
(if numbers.iter().sum::<i32>() % 2 == 0 {"even"} else {"odd"}).to_string()
}

Check the exam


fn check_exam(arr_a: &[&str], arr_b: &[&str]) -> i64 {
let ans = arr_a
.iter()
.enumerate()
.map(|(idx, val)| {
if arr_b[idx] == "" {
0
} else if &arr_b[idx] == val {
4
} else {
-1
}
})
.sum();
if ans < 0 {
0
} else {
ans
}
}
//
fn check_exam(arr_a: &[&str], arr_b: &[&str]) -> i64 {
arr_a.iter().zip(arr_b.iter()).fold(0, |pts, ans| {
match ans {
(a, b) if a == b => pts + 4,
(_, b) if b == &"" => pts,
_ => pts - 1
}
}).max(0)
}
fn check_exam(arr_a: &[&str], arr_b: &[&str]) -> i64 {
arr_a
.iter()
.zip(arr_b)
.map(|(&a, &b)| match b {
"" => 0,
_ if a == b => 4,
_ => -1,
})
.sum::<i64>()
.max(0)
}

Highest and Lowest

fn high_and_low(numbers: &str) -> String {
let vec = numbers.split(" ").map(|x| x.parse::<i32>().unwrap());
let vec2 = vec.clone();
let min = vec.min().unwrap();
let max = vec2.max().unwrap();
format!("{} {}", max, min)
}
//
fn high_and_low(numbers: &str) -> String {
use std::cmp;
let f = |(max, min), x| (cmp::max(max, x), cmp::min(min, x));

let answer = numbers
.split_whitespace()
.map(|x| x.parse::<i32>().unwrap())
.fold((i32::min_value(), i32::max_value()), f);
format!("{} {}", answer.0, answer.1)
}
extern crate itertools;
use itertools::Itertools;

fn high_and_low(numbers: &str) -> String {
let (min, max): (i32, i32) = numbers
.split_whitespace()
.map(|s| s.parse().unwrap())
.minmax()
.into_option()
.unwrap();
format!("{} {}", max, min)
}
fn high_and_low(numbers: &str) -> String {
let as_ints: Vec<i32> = numbers.split(" ").map(|x| x.parse().unwrap()).collect();
format!("{} {}", as_ints.iter().max().unwrap(), as_ints.iter().min().unwrap())
}

Sum of Minimums!


fn sum_of_minimums(numbers: [[u8; 4]; 4]) -> u8 {
numbers
.map(|arr| arr.into_iter().min().unwrap())
.iter()
.sum()
}
//
fn sum_of_minimums(numbers: [[u8; 4]; 4]) -> u8 {
numbers.iter().map(|row| row.iter().min().unwrap()).sum()
}
fn sum_of_minimums(numbers: [[u8; 4]; 4]) -> u8 {
numbers.iter().filter_map(|v| v.iter().min()).sum()
}
fn sum_of_minimums(numbers: [[u8; 4]; 4]) -> u8 {
numbers.iter().flat_map(|x| x.iter().min()).su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