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건너뛰기

"match" 태그로 연결된 1개 게시물개의 게시물이 있습니다.

모든 태그 보기

Chap.6 enums and match

· 약 35분
brown
FE developer

이번 장에서는 열거(enumerations) 에 대해 살펴볼 것입니다. 열거형(enums) 이라고도 합니다.

열거형은 하나의 타입이 가질 수 있는 variant들을 열거함으로써 타입을 정의할 수 있도록 합니다.

  1. 우선, 하나의 열거형을 정의하고 사용해 봄으로써, 어떻게 열거형에 의미와 함께 데이터를 담을 수 있는지 보여줄 것입니다.
  2. 다음으로, Option 이라고 하는 특히 유용한 열거형을 자세히 볼 텐데, 이것은 어떤 값을 가질 수도 있고, 갖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3. 그 다음으로, 열거형의 값에 따라 쉽게 다른 코드를 실행하기 위해 match 표현식에서 패턴 매칭을 사용하는 방법을 볼 것입니다.
  4. 마지막으로, 코드에서 열거형을 편하고 간결하게 다루기 위한 관용 표현인 if let 구문을 다룰 것입니다.

열거형은 다른 언어들에서도 볼 수 있는 특징이지만, 열거형으로 할 수 있는 것들은 언어마다 다릅니다. p 러스트의 열거형은 F#, OCaml, Haskell 과 같은 함수형 언어의 대수 데이터 타입과 가장 비슷합니다.

6.1 열거형 정의하기

IP 주소를 다루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면서, 어떤 상황에서 열거형이 구조체보다 유용하고 적절한지 알아보겠습니다.

  1. 현재 사용되는 IP 주소 표준은 IPv4, IPv6 두 종류입니다(앞으로 v4, v6 로 표기하겠습니다).
  2. 즉, 우리가 만들 프로그램에서 다룰 IP 종류 역시 v4, v6 가 전부입니다.
  3. 이번엔 단 두 가지뿐이긴 하지만, 이처럼 가능한 모든 variant들을 죽 늘어놓는 것을 열거라고 표현합니다.
  4. IP 주소는 반드시 v4나 v6 중 하나만 될 수 있는데, 이러한 특성은 열거형 자료 구조에 적합합니다.
    1. 왜냐하면, 열거형의 값은 여러 variant 중 하나만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2. v4, v6 는 근본적으로 IP 주소이기 때문에, 이 둘은 코드에서 모든 종류의 IP 주소에 적용되는 상황을 다룰 때 동일한 타입으로 처리되는 것이 좋습니다.
enum IpAddrKind {
V4,
V6,
}
fn main() {
let four = IpAddrKind::V4;
let six = IpAddrKind::V6;
route(IpAddrKind::V4);
route(IpAddrKind::V6);
}
fn route(ip_kind: IpAddrKind) {}

이제 IpAddrKind 은 우리의 코드 어디에서나 쓸 수 있는 데이터 타입이 되었습니다.

열거형 값

아래처럼 IpAddrKind 의 두 개의 variant 에 대한 인스턴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let four = IpAddrKind::V4;
let six = IpAddrKind::V6;
  • 열거형을 정의할 때의 식별자로 네임스페이스가 만들어져서, 각 variant 앞에 콜론(:) 두 개를 붙여야 한다는 점을 알아두세요.
  • 이 방식은 IpAddrKind::V4IpAddrKind::V6 가 모두 IpAddrKind 타입이라는 것을 표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제 IpAddrKind 타입을 인자로 받는 함수를 정의해봅시다:

fn route(ip_kind: IpAddrKind) {}

그리고, variant 중 하나를 사용해서 함수를 호출할 수 있습니다

route(IpAddrKind::V4);
route(IpAddrKind::V6);

열거형을 사용하면 이점이 더 있습니다. IP 주소 타입에 대해 더 생각해 볼 때, 지금으로써는 실제 IP 주소 데이터 를 저장할 방법이 없습니다. 단지 어떤 종류 인지만 알 뿐입니다.

5장에서 구조체에 대해 방금 공부했다고 한다면, 이 문제를 Listing 6-1에서 보이는 것처럼 풀려고 할 것입니다:

fn main() {
enum IpAddrKind {
V4,
V6,
}
struct IpAddr {
kind: IpAddrKind,
address: String,
}
let home = IpAddr {
kind: IpAddrKind::V4,
address: String::from("127.0.0.1"),
};
let loopback = IpAddr {
kind: IpAddrKind::V6,
address: String::from("::1"),
};
}

Listing 6-1: struct 를 사용해서 IP 주소의 데이터와 IpAddrKind variant 저장하기

  • IpAddrKind (이전에 정의한 열거형) 타입 kind 필드와 String 타입 address 필드를 갖는 IpAddr 를 정의하고, 인스턴스를 두 개 생성했습니다.
  • 첫 번째 home 은 kind 의 값으로 IpAddrKind::V4 을 갖고 연관된 주소 데이터로 127.0.0.1 를 갖습니다.
  • 두 번째 loopback 은 IpAddrKind 의 다른 variant 인 V6 을 값으로 갖고, 연관된 주소로 ::1 를 갖습니다.
  • kind 와 address 의 값을 함께 사용하기 위해 구조체를 사용했습니다.
  • 그렇게 함으로써 variant 가 연관된 값을 갖게 되었습니다.

각 열거형 variant 에 데이터를 직접 넣는 방식을 사용해서 열거형을 구조체의 일부로 사용하는 방식보다 더 간결하게 동일한 개념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IpAddr 열거형의 새로운 정의에서는 두 개의 V4 와 V6 variant 는 연관된 String 타입의 값을 갖게 됩니다:

    enum IpAddr {
V4(String),
V6(String),
}
let home = IpAddr::V4(String::from("127.0.0.1"));
let loopback = IpAddr::V6(String::from("::1"));

열거형의 각 variant 에 직접 데이터를 붙임으로써, 구조체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졌습니다.

  • 구조체 대신 열거형을 사용할 때의 또 다른 장점이 있습니다.
  • 각 variant 는 다른 타입과 다른 양의 연관된 데이터를 가질 수 있습니다.
  • v4 타입의 IP 주소는 항상 0 ~ 255 사이의 숫자 4개로 된 구성요소를 갖게 될 것입니다.
  • V4 주소에 4개의 u8 값을 저장하길 원하지만, v6 주소는 하나의 String 값으로 표현되길 원한다면, 구조체로는 이렇게 할 수 없습니다.
  • 열거형은 이런 경우를 쉽게 처리합니다
    enum IpAddr {
V4(u8, u8, u8, u8),
V6(String),
}
let home = IpAddr::V4(127, 0, 0, 1);
let loopback = IpAddr::V6(String::from("::1"));
  • 두 가지 다른 종류의 IP 주소를 저장하기 위해 코드상에서 열거형을 정의하는 몇 가지 방법을 살펴봤습니다.
  • 그러나, 누구나 알듯이 IP 주소와 그 종류를 저장하는 것은 흔하기 때문에, 표준 라이브러리에 사용할 수 있는 정의가 있습니다! 표준 라이브러리에서 IpAddr 를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지 살펴봅시다.
  • 위에서 정의하고 사용했던 것과 동일한 열거형과 variant 를 갖고 있지만, variant 에 포함된 주소 데이터는 두 가지 다른 구조체로 되어 있으며, 각 variant 마다 다르게 정의하고 있습니다:
#![allow(unused)]
fn main() {
struct Ipv4Addr {
// --생략--
}
struct Ipv6Addr {
// --생략--
}
enum IpAddr {
V4(Ipv4Addr),
V6(Ipv6Addr),
}
}

이 코드로 알 수 있듯, 열거형 variant 에는 어떤 종류의 데이터건 넣을 수 있습니다. 문자열, 숫자 타입, 구조체 등은 물론, 다른 열거형마저도 포함할 수 있죠!

이건 여담이지만, 러스트의 표준 라이브러리 타입은 여러분 생각보다 단순한 경우가 꽤 있습니다.

현재 스코프에 표준 라이브러리를 가져오지 않았기 때문에, 표준 라이브러리에 IpAddr 정의가 있더라도, 동일한 이름의 타입을 만들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열거형의 다른 예제를 살펴봅시다. 이 예제에서는 각 variant 에 다양한 유형의 타입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enum Message {
Quit,
Move { x: i32, y: i32 },
Write(String),
ChangeColor(i32, i32, i32),
}

이 열거형에는 다른 데이터 타입을 갖는 네 개의 variant 가 있습니다:

  • Quit 은 연관된 데이터가 전혀 없습니다.
  • Move 은 익명 구조체를 포함합니다.
  • Write 은 하나의 String 을 포함합니다.
  • ChangeColor 는 세 개의 i32 을 포함합니다.

variant 로 열거형을 정의하는 것은 다른 종류의 구조체들을 정의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열거형과 다른 점은 struct 키워드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과 모든 variant 가 Message 타입으로 그룹화된다는 것입니다. 아래 구조체들은 이전 열거형의 variant 가 갖는 것과 동일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struct QuitMessage; // unit struct
struct MoveMessage {
x: i32,
y: i32,
}
struct WriteMessage(String); // tuple struct
struct ChangeColorMessage(i32, i32, i32); // tuple struct

각기 다른 타입을 갖는 여러 개의 구조체를 사용한다면, 이 메시지 중 어떤 한 가지를 인자로 받는 함수를 정의하기 힘들 것입니다. Listing 6-2 에 정의한 Message 열거형은 하나의 타입으로 이것이 가능합니다.

  • 열거형과 구조체는 한 가지 더 유사한 점이 있습니다.
  • 구조체에 impl 을 사용해서 메소드를 정의한 것처럼, 열거형에도 정의할 수 있습니다.
  • 여기 Message 열거형에 에 정의한 call 이라는 메소드가 있습니다:
fn main() {
enum Message {
Quit,
Move { x: i32, y: i32 },
Write(String),
ChangeColor(i32, i32, i32),
}
impl Message {
fn call(&self) {
// method body would be defined here
}
}
let m = Message::Write(String::from("hello"));
m.call();
}

열거형의 값을 가져오기 위해 메소드 안에서 self 를 사용할 것입니다.

이 예제에서 생성한 변수 m 은 Message::Write(String::from("hello")) 값을 갖게 되고, 이 값은 m.call()이 실행될 때, call 메소드 안에서 self가 될 것입니다.

이제 표준 라이브러리에 포함된 열거형 중 유용하고 굉장히 자주 사용되는 Option 열거형을 살펴봅시다:

Option 열거형이 Null 값 보다 좋은 점들

이번 절에서는 표준 라이브러리에서 열거형으로 정의된 또 다른 타입인 Option 에 대한 사용 예를 살펴볼 것입니다.

  • Option 타입은 많이 사용되는데, 값이 있거나 없을 수도 있는 아주 흔한 상황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 이 개념을 타입 시스템의 관점으로 표현하자면, 컴파일러가 발생할 수 있는 모든 경우를 처리했는지 체크할 수 있습니다.

  • 이렇게 함으로써 버그를 방지할 수 있고, 이것은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매우 흔합니다.

  • 러스트는 다른 언어들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null 개념이 없습니다.

    • Null 은 값이 없다는 것을 표현하는 하나의 값입니다.
  • null 개념이 존재하는 언어에서, 변수의 상태는 둘 중 하나입니다.

  • null 인 경우와, null 이 아닌 경우죠.

  • null 값으로 발생하는 문제는, null 값을 null 이 아닌 값처럼 사용하려고 할 때 여러 종류의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 하지만, "현재 어떠한 이유로 인해 유효하지 않거나, 존재하지 않는 하나의 값"이라는 null 이 표현하려고 하는 개념은 여전히 유용합니다.

null 의 문제는 실제 개념에 있기보다, 특정 구현에 있습니다. 이와 같이 러스트에는 null 이 없지만, 값의 존재 혹은 부재의 개념을 표현할 수 있는 열거형이 있습니다. 이 열거형은 Option<T> 이며, 다음과 같이 표준 라이브러리에 정의되어 있습니다:

enum Option<T> {
Some(T),
None,
}

Option<T> 열거형은 너무나 유용하기 때문에, 러스트에서 기본으로 임포트하는 목록인 prelude 에도 포함돼있습니다. 따라서 명시적으로 가져올 필요가 없으며, SomeNone variant 앞에 Option:: 도 붙이지 않아도 됩니다.

여러모로 특별하긴 하지만 Option<T> 는 여전히 일반적인 열거형이며, Some(T)None 도 여전히 Option<T> 의 variant 입니다.

<T> 는 러스트의 문법이며 아직 다루지 않았습니다. 제너릭 타입 파라미터이며, 제너릭에 대해서는 10 장에서 더 자세히 다룰 것입니다. 지금은 단지 <T> 가 Option 열거형의 Some variant 가 어떤 타입의 데이터라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을 알고 있으면 됩니다. 여기 숫자 타입과 문자열 타입을 갖는 Option 값에 대한 예들이 있습니다:

    let some_number = Some(5);
let some_string = Some("a string");

let absent_number: Option<i32> = None;

Some 이 아닌 None 을 사용한다면, Option<T> 이 어떤 타입을 가질지 러스트에게 알려줄 필요가 있습니다. 컴파일러는 None 만 보고는 Some variant 가 어떤 타입인지 추론할 수 없습니다.

  • Some 값을 얻게 되면, 값이 존재한다는 것과 해당 값이 Some 내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None 값을 얻게 되면, 얻은 값이 유효하지 않은 값이라는, 어떤 면에서는 null 과 같은 의미를 갖습니다.
  • 그렇다면 왜 Option<T> 가 null 을 갖는 것보다 나을까요? 간단하게 말하면, Option<T> 와 T는 다른 타입이며, 컴파일러는 Option<T> 값을 명확하게 유효한 값처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합니다.
  • T 에 대한 연산을 수행하기 전에 Option<T> 를 T 로 변환해야 합니다.
  • 이런 방식은 null 로 인해 발생하는 가장 흔한 문제인, 실제로는 null 인데 null 이 아니라고 가정하는 상황을 발견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null 이 아닌 값을 갖는다는 가정을 놓치는 경우에 대해 걱정할 필요가 없게 되면, 코드에 더 확신을 갖게 됩니다. null 일 수 있는 값을 사용하기 위해서, 명시적으로 값의 타입을 Option<T> 로 만들어 줘야 합니다. 그다음엔 값을 사용할 때 명시적으로 null 인 경우를 처리해야 합니다. 값의 타입이 Option<T> 가 아닌 모든 곳은 값이 null 이 아니라고 안전하게 가정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null을 너무 많이 사용하는 문제를 제한하고 러스트 코드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러스트의 의도된 디자인 결정 사항입니다.

그래서, Option<T> 타입인 값을 사용할 때 Some variant 에서 T 값을 가져오려면 어떻게 해야 하냐고요?

  • Option<T> 열거형이 가진 메소드는 많고, 저마다 다양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습니다.
  • 그러니 한번 문서에서 여러분에게 필요한 메소드를 찾아보세요. Option<T> 의 여러 메소드를 익혀두면 앞으로의 러스트 프로그래밍에 매우 많은 도움이 될 겁니다.
  • 일반적으로, Option<T> 값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각 variant 를 처리할 코드가 필요할 겁니다.
  • Some(T) 값일 때만 실행돼서 내부의 T 값을 사용할 코드도 필요할 테고, None 값일 때만 실행될, T 값을 쓸 수 없는 코드도 필요할 겁니다.
  • match 라는 제어 흐름을 구성하는 데 쓰이는 표현식을 열거형과 함께 사용하면 이런 상황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 열거형의 variant 에 따라서 알맞은 코드를 실행하고, 해당 코드 내에선 매칭된 값의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죠.

6.2 match 흐름 제어 연산자

러스트는 match라고 불리는 흐름 제어 연산자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우리에게 일련의 패턴에 대해 어떤 값을 비교한 뒤 어떤 패턴에 매치되었는지를 바탕으로 코드를 수행하도록 해줍니다.

match 표현식을 동전 분류기와 비슷한 종류로 생각해보세요. 동전들은 다양한 크기의 구멍들이 있는 트랙으로 미끄러져 내려가고, 각 동전은 그것에 맞는 첫 번째 구멍을 만났을 때 떨어집니다. 동일한 방식으로, 값들은 match 내의 각 패턴을 통과하고, 해당 값에 "맞는" 첫 번째 패턴에서, 그 값은 실행 중에 사용될 연관된 코드 블록 안으로 떨어질 것입니다.

enum Coin {
Penny,
Nickel,
Dime,
Quarter,
}
fn value_in_cents(coin: Coin) -> u8 {
match coin {
Coin::Penny => 1,
Coin::Nickel => 5,
Coin::Dime => 10,
Coin::Quarter => 25,
}
}
  • value_in_cents 함수 내의 match를 쪼개 봅시다.
  • 먼저, match 키워드 뒤에 표현식을 써줬는데, 위의 경우에는 coin 값입니다.
  • 이는 if 에서 사용하는 표현식과 매우 유사하지만, 큰 차이점이 있습니다.
    • if 를 사용할 경우에는 표현식에서 boolean 값을 반환해야 하지만, 여기서는 어떤 타입이든 가능합니다.
  • 다음은 match 갈래(arm)들입니다.
    • 하나의 갈래는 패턴과 코드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여기서의 첫 번째 갈래는 값 Coin::Penny로 되어있는 패턴을 가지고 있고 그 후에 패턴과 실행되는 코드를 구분해주는 => 연산자가 있습니다.
    • 위의 경우에서 코드는 그냥 값 1입니다.
    • 각 갈래는 그다음 갈래와 쉼표로 구분됩니다.
  • match 표현식이 실행될 때, 결과 값을 각 갈래의 패턴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비교합니다.
  • 만일 어떤 패턴이 그 값과 매치되면, 그 패턴과 연관된 코드가 실행됩니다.
  • 만일 그 패턴이 값과 매치되지 않는다면, 동전 분류기와 비슷하게 다음 갈래로 실행을 계속합니다.

값들을 바인딩하는 패턴들

match의 또 다른 유용한 기능은 패턴과 매치된 값들의 부분을 바인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한 가지 예로서, 우리의 열거형 variant 중 하나를 내부에 값을 들고 있도록 바꿔봅시다.

  • 1999년부터 2008년까지, 미국은 각 50개 주마다 한쪽 면의 디자인이 다른 쿼터 동전을 주조했습니다.
  • 다른 동전들은 주의 디자인을 갖지 않고, 따라서 오직 쿼터 동전들만 이 특별 값을 갖습니다.
  • 우리는 이 정보를 Quarter variant 내에 UsState 값을 포함하도록 우리의 enum을 변경함으로써 추가할 수 있습니다.
  1. 우리의 친구가 모든 50개 주 쿼터 동전을 모으기를 시도하는 중이라고 상상해봅시다.
  2. 동전의 종류에 따라 동전을 분류하는 동안,
  3. 우리는 또한 각 쿼터 동전에 연관된 주의 이름을 외쳐서,
  4. 만일 그것이 우리 친구가 가지고 있지 않은 것이라면,
  5. 그 친구는 자기 컬렉션에 그 동전을 추가할 수 있겠지요.

이 코드를 위한 매치 표현식 내에서는 variant Coin::Quarter의 값과 매치되는 패턴에 state라는 이름의 변수를 추가합니다. Coin::Quarter이 매치될 때, state 변수는 그 쿼터 동전의 주에 대한 값에 바인드 될 것입니다. 그러면 우리는 다음과 같이 해당 갈래에서의 코드 내에서 state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derive(Debug)]
enum UsState {
Alabama,
Alaska,
// --snip--
}
enum Coin {
Penny,
Nickel,
Dime,
Quarter(UsState),
}
fn value_in_cents(coin: Coin) -> u8 {
match coin {
Coin::Penny => 1,
Coin::Nickel => 5,
Coin::Dime => 10,
Coin::Quarter(state) => {
println!("State quarter from {:?}!", state);
25
}
}
}
fn main() {
value_in_cents(Coin::Quarter(UsState::Alaska));
}
  1. 만일 우리가 value_in_cents(Coin::Quarter(UsState::Alaska))를 호출했다면,
  2. coin은 Coin::Quarter(UsState::Alaska)가 될 테지요.
  3. 각각의 매치 갈래들과 이 값을 비교할 때, Coin::Quarter(state)에 도달할 때까지 아무것도 매치되지 않습니다.
  4. 이 시점에서, state에 대한 바인딩은 값 UsState::Alaska가 될 것입니다.
  5. 그러면 이 바인딩을 println! 표현식 내에서 사용할 수 있고,
  6. 따라서 Quarter에 대한 Coin 열거형 variant로부터 내부의 주에 대한 값을 얻었습니다.

Option<T> 를 이용하는 매칭

이전 절에서 Option<T> 값을 사용하려면 Some 일 때 실행돼서, Some 내의 T 값을 얻을 수 있는 코드가 필요하다고 했었죠. 이제 Coin 열거형을 다뤘던 것처럼 Option<T> 도 match 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동전들을 비교하는 대신, Option<T>의 variant를 비교할 것이지만, match 표현식이 동작하는 방법은 동일하게 남아있습니다.

Option<i32>를 파라미터로 받아서, 내부에 값이 있으면, 그 값에 1을 더하는 함수를 작성하고 싶다고 칩시다. 만일 내부에 값이 없으면, 이 함수는 None 값을 반환하고 다른 어떤 연산도 수행하는 시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fn main() {
fn plus_one(x: Option<i32>) -> Option<i32> {
match x {
None => None,
Some(i) => Some(i + 1),
}
}
let five = Some(5);
let six = plus_one(five);
let none = plus_one(None);
}

plus_one의 첫 번째 실행을 좀 더 자세히 시험해봅시다.

  1. plus_one(five)가 호출될 때, plus_one의 본체 내의 변수 x는 값 Some(5)를 갖게 될 것입니다.

  2. 그런 다음 각각의 매치 갈래에 대하여 이 값을 비교합니다.

    1. Some(5) 값은 패턴 None과 매칭되지 않으므로, 다음 갈래로 계속 갑니다.
  3. Some(5)가 Some(i)랑 매칭되나요?

    1. 예, 바로 그렇습니다! 동일한 variant를 갖고 있습니다.
    2. Some 내부에 담긴 값은 i에 바인드 되므로, i는 값 5를 갖습니다.
    3. 그런 다음 매치 갈래 내의 코드가 실행되므로,
    4. i의 값에 1을 더한 다음 최종적으로 6을 담은 새로운 Some 값을 생성합니다.
  4. 이제 x가 None인 Listing 6-5에서의 plus_one의 두 번째 호출을 살펴봅시다.

  5. match 안으로 들어와서 첫 번째 갈래와 비교합니다.

    1. None => None,
  6. 매칭되었군요! 더할 값은 없으므로, 프로그램은 멈추고 =>의 우측 편에 있는 None 값을 반환합니다.

match와 열거형을 조합하는 것은 다양한 경우에 유용합니다. 여러분은 러스트 코드 내에서 이러한 패턴을 많이 보게 될 겁니다. 열거형에 대한 match, 내부의 데이터에 변수 바인딩, 그런 다음 그에 대한 수행 코드 말이지요. 처음에는 약간 까다롭지만, 여러분이 일단 익숙해지면, 이를 모든 언어에서 쓸 수 있게 되기를 바랄 것입니다. 이것은 꾸준히 사용자들이 가장 좋아하는 기능입니다.

_ Placeholder

러스트는 또한 우리가 모든 가능한 값을 나열하고 싶지 않을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패턴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럴 땐 _ 라는 특별한 패턴을 사용하면 됩니다:

fn main() {
let some_u8_value = 0u8;
match some_u8_value {
1 => println!("one"),
3 => println!("three"),
5 => println!("five"),
7 => println!("seven"),
_ => (),
}
}
  • _ 패턴은 어떠한 값과도 매칭될 것입니다.
  • 우리의 다른 갈래 뒤에 이를 집어넣음으로써, _는 그전에 명시하지 않은 모든 가능한 경우에 대해 매칭될 것입니다.
  • ()는 단지 단윗값이므로, _ 케이스에서는 어떤 일도 일어나지 않을 것입니다.
  • 결과적으로, 우리가 _ placeholder 이전에 나열하지 않은 모든 가능한 값들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다는 것을 말해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match 표현식은 우리가 단 한 가지 경우에 대해 고려하는 상황에서는 다소 장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위하여, 러스트는 if let을 제공합니다.

if let을 사용한 간결한 흐름 제어

if let 문법은 if와 let을 조합하여 하나의 패턴만 매칭시키고 나머지 경우는 무시하는 값을 다루는 덜 수다스러운 방법을 제공합니다. 어떤 Option<u8> 값을 매칭 하지만 그 값이 3일 경우에만 코드를 실행시키고 싶어 하는 Listing 6-6에서의 프로그램을 고려해 보세요:

fn main() {
let some_u8_value = Some(0u8); // some with 숫자에 타입 주는 방법
match some_u8_value {
Some(3) => println!("three"),
_ => (),
}
}

if let을 이용하여 이 코드를 더 짧게 쓸 수 있습니다.

fn main() {
let some_u8_value = Some(0u8);
if let Some(3) = some_u8_value {
println!("three");
}
}

if let은 =로 구분된 패턴과 표현식을 입력받습니다. 이는 match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하는데, 여기서 표현식은 match에 주어지는 것이고 패턴은 이 match의 첫 번째 갈래와 같습니다.

  • if let을 이용하는 것은 여러분이 덜 타이핑하고, 덜 들여쓰기 하고, 보일러 플레이트 코드를 덜 쓰게 된다는 뜻입니다.
  • 하지만, match가 강제했던 하나도 빠짐없는 검사를 잃게 되었습니다.
  • match와 if let 사이에서 선택하는 것은 여러분의 특정 상황에서 여러분이 하고 있는 것에 따라, 그리고 간결함을 얻는 것이 전수 조사를 잃는 것에 대한 적절한 거래인지에 따라 달린 문제입니다.

즉 if let 은, 한 패턴에 매칭될 때만 코드를 실행하고 다른 경우는 무시하는 match 문을 작성할 때 사용하는 syntax sugar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if let과 함께 else를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 else 뒤에 나오는 코드 블록은 match 표현식에서 _ 케이스 뒤에 나오는 코드 블록과 동일합니다.

정리

  • 지금까지 우리는 열거한 값들의 집합 중에서 하나가 될 수 있는 커스텀 타입을 만들기 위해서 열거형을 사용하는 방법을 다뤄보았습니다.
  • 우리는 표준 라이브러리의 Option<T> 타입이 에러를 방지하기 위해 어떤 식으로 타입 시스템을 이용하도록 도움을 주는지 알아보았습니다.
  • 열거형 값들이 내부에 데이터를 가지고 있을 때는, match나 if let을 이용하여 그 값들을 추출하고 사용할 수 있는데, 둘 중 어느 것을 이용할지는 여러분이 다루고 싶어 하는 경우가 얼마나 많은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여러분은 이제 구조체와 열거형을 이용해 원하는 개념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여러분의 API 내에 커스텀 타입을 만들어서 사용하면, 작성한 함수가 원치 않는 값으로 작동하는 것을 컴파일러가 막아주기 때문에 타입 안정성도 보장받을 수 있습니다.

사용하기 직관적이고 여러분의 사용자가 필요로 할 것만 정확히 노출된 잘 조직화된 API를 여러분의 사용들에게 제공하기 위해서, 이제 러스트의 모듈로 넘어갑시다.